역사 자료실
금곡사지
[원문] 金谷祠誌 李光先 行狀 李光先字汝孝號文村 系出咸豊上祖諱光逢 高麗三司使 壁上三韓三重大匡佐命功臣 咸豐府院君 自是 累公累卿 入我朝 有諱克諧咸城君 生諱枝春縣監 生諱圻秉節校尉 生諱盡忠新寧縣監 是於公爲曾祖也 祖諱雲副尉 考諱夢禎 嘉靖癸亥生公于羅州竹浦之增文里第 幼而岐疑稍長形貌偉長身 岳立軒軒 有鉅人風度 見者自然敬服 就學于莎村崔公四勿之門 博涉經史學問優長 崔公甚器重之 弱冠遂恣意遊觀山川 風土之異同 人情物宜之常變 靡不歷覽而詳察焉 盖公才氣超出等夷 慷慨喜功名於産業不屑也 萬曆庚寅登武科 爲建功禦侮折衝將軍 辛卯除所江僉使 壬辰島夷之燹 公奮然曰 此正臣子效忠報國之秋也 倍道入衛京城 以部將扈駕龍彎 宣廟喜之 特除宣傳官 賜劒 輪行下邑 時行朝命不通於三南 公慨然受命 單騎馳至東萊 猝遇賊 冒白刃挺身出圍 獨斬數十級賊 不敢犯得抵湖南 與高鶴峯因厚 魯錦溪認 府使李忠立 協謀討賊 卽從都元帥權公慄 梨峙之戰 幸州之捷 俱立殊勳 事聞上大悅 特除永同縣監 回鑾後 錄宣武原從勳 超拜兵曹參判異數也 其錄券尙傳後孫家 歿于丙辰八月七日 葬羅州西寺洞先壠下庚坐原 公性本忠義 才兼文武 勇力絶倫 智略盖世奮 不顧身 以殉國家之急 其素蓄積也 是以當寇賊 搶攘之際 首先赴難 執靮捍王 奉命通信 協謀元帥 戰輒樹勳 克贊中興之業 雖邦命方永 天意助順 而未嘗非當日諸公戮力 輸忠之功也 噫 方朝野無事之時 登膴仕 享厚祿者 持梁嚙肥 高談仁義 而及乎危急 則皆引帑鳥獸 匿者多矣 而若公遐鄕 一武弁 聖主不識何狀 而乃能辦此奇功 宜其策名盟府 超秩亞卿也盛矣哉 公後孫某某 謁余爲狀 余復曰 公之功烈 已蒙聖朝之嘉賞事實具載 於幸州大捷碑名德 則又配享於錦山忠壯祠 而今李侍從承旭銘其墓 此足以徵信於後 奚贅爲辭之固 而請益切遂撰次如右 以竢知德者攷質焉 錦城吳駿善謹撰 [해설/문학박사 나천수] 후석 오준선이 쓴 금곡사지(金谷祠誌) 이광선 행장(行狀) 李光先字汝孝號文村(이광선자여효호문촌)/ 이광선의 자는 여효(汝孝), 호는 문촌(文村)으로 系出咸豊(系出咸豊)/ 계통이 함풍에서 나왔으며 上祖諱光逢(상조휘광봉)/ 시조의 이름은 광봉(光逢)으로 高麗 三司使 壁上三韓三重大匡 輔國崇祿大夫 佐命功臣 咸豐府院君(고려 삼사사 벽상삼한삼중대광 보국숭록대부 좌명공신 함풍부원군)/ 고려 삼사사 벽상삼한삼중대광 보국숭록대부 좌명공신 함풍부원군입니다.) 自是(자시)/이로부터 累公累卿(루공루경)/ 공(公)과 경(卿)이 줄을 이었습니다. 入我朝(입아조)/ 조선조에 들어와 有諱克諧咸城君(유휘극해함성군)/ 휘 극해(克諧)는 함성군(咸城君)이요 生諱枝春縣監(생휘지춘현감)/ 이 분이 낳은 지춘(枝春)은 현감(縣監)을 하였으며 生諱圻秉節校尉(생휘기병절교위)/ 이분이 낳은 기(圻)는 병절교위(秉節校尉)를 하였으며 生諱盡忠新寧縣監(생휘진충신녕현감)/ 이분이 낳은 진충(盡忠)은 신녕현감(新寧縣監)을 하였는데 是於公爲曾祖也(是於公爲曾祖也)/ 이분이 공에게 증조가 됩니다. 祖諱雲副尉(휘운부위)/조 휘는 운(雲)으로 부위(副尉)를 하였으며 考諱夢禎(고휘몽정)/ 고 휘는 몽정(夢禎)입니다. 嘉靖癸亥生公于羅州竹浦之增文里第(가정계해생공우나주죽포지증문리제)/ 가정 계해년 공은 나주 죽포의 증문리 집에서 태어났습니다. 幼而岐疑稍長形貌偉長身(유이기의초장형모위장신)/어려서 기의연(岐疑然)하였는데 조금 자라서는 생김새도 크고 키가 커서 岳立軒軒(악립헌헌)/ 우뚝한 산처럼 높고도 높아 有鉅人風度(유거인풍도)/큰 인물의 풍채와 태도가 있었기에 見者自然敬服(見者自然敬服)/보는 자마다 자연히 존경하여 복종하였습니다. 就學于莎村崔公四勿之門(취학우사촌최공사물지문)/사촌 최사물(莎村 崔四勿) 공의 문하에 나아가 공부하면서 博涉經史學問優長(박섭경사학문우장)/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널리 섭렵하여 학문이 넉넉해지자 崔公甚器重之(최공심기중지)/ 최공이 매우 큰 그릇으로 여기어 소중히 여겼습니다. 弱冠遂恣意遊觀山川(약관수자의유관산천)/약관의 20세 나이에 마침내 제멋대로 생각하여 산천을 유람하며 風土之異同(풍토지이동)/ 풍토(風土)의 같고 다른 것이나 人情物宜之常變(인정물의지상변)/ 사람의 정(情)과 사물의 당연한 상태가 항상 변한다는 것을 靡不歷覽而詳察焉()/보지 않은 것이 없을 정도로 자세히 관찰하였습니다. 盖公才氣超出等夷(개공재기초출등이)/대체로 공은 재기(才氣)가 동배(同輩) 중에서 매우 뛰어났으며 慷慨喜功名於産業不屑也(慷慨喜功名於産業不屑也)/강개함으로 공명(功名)을 사랑하여 산업을 하찮게 여겼습니다. 萬曆庚寅登武科(만력경인등무과)/ 만력 신묘년에 무과(武科)에 급제하여 爲建功禦侮折衝將軍(위건공어모절충장군)/ 건공(建功)과 어모(禦侮), 절충장군(折衝將軍)이 되었으며 辛卯除所江僉使(신묘제소강첨사)/신축년에 소강진수군첨절제사(所江鎭水軍僉節制使)에 제수되었습니다. 壬辰島夷之燹(임진도이지선)/ 임진년(1592년) 섬 오랑캐의 병화(兵火)에 公奮然曰(공분연왈)/공이 분연히 말하기를 此正臣子效忠報國之秋也(차정신자효충보국지추야)/“지금이야말로 신하는 충성을 다하여 나라에 보답할 때이다.”라 하며 倍道入衛京城(배도입위경성)/길을 갑절로 걸어서 경성(京城)을 지키기 위하여 들어가 以部將扈駕龍彎(이부장호가용만)/ 부장(部將)으로서 용만(龍彎)으로 파천하는 임금의 거가(車駕)을 호위하였는데. 宣廟喜之(선묘희지)/ 선조 임금께서 기뻐하시며 特除宣傳官(특제선전관)/ 특별히 선전관으로 제수하면서 賜劒(사검)/ 검을 하사(下賜)하셨으며 輪行下邑(륜행하읍)/ 삼남 아래 고을을 돌아다니라 하였습니다. 時行朝命不通於三南(시행조명불통어삼남)/ 이때 행조(行朝)의 명령이 삼남을 통하지 않았기에 公慨然受命(공개연수명)/공은 개연히 명령받아서 單騎馳至東萊(단기치지동래)/ 한 필의 말을 타고 달려서 동래(東萊)에 이르렀을 때 猝遇賊(졸우적)/ 갑자기 왜적들을 만나 冒白刃挺身出圍(모백인정신출위)/ 서슬이 번쩍이는 칼날을 무릅쓰고 몸을 떨쳐 포위망을 빠져나가면서 獨斬數十級賊(독참수십급적)/홀로 수십 급의 왜적의 목을 베니 不敢犯得抵湖南(불감범득저호남)/ 왜적들이 감히 범하지 못하였기에 호남에 이를 수 있었습니다. 與高鶴峯因厚(여고학봉인후)/더불어 학봉 고인후(鶴峯 高因厚)와 魯錦溪認(노금계인)/ 금계 노인(錦溪 魯認) 府使李忠立(부사이충립)/부사 이충립(府使 李忠立)이 協謀討賊(협모토적)/ 왜적 토벌을 협력하고 모의하여 卽從都元帥權公慄(즉종도원수권공률)/즉시 도원수 권율(權慄)을 따라서 梨峙之戰(이치지전)/ 이치(梨峙)에서 전투를 하고 幸州之捷(행주지첩)/ 행주 전투에서 크게 이기어 俱立殊勳(구립수훈)/ 모두 빼어난 공훈을 세우니 事聞上大悅(사문상대열)/ 이일을 임금이 듣고 크게 기뻐하면서 特除永同縣監(특제영동현감)/특별히 영동현감(永同縣監)에 제수하였으며 回鑾後(회란후)/ 임금이 의주(義州)에서 환궁한 후에 錄宣武原從勳(녹선무원종훈)/선무원종(宣武原從) 공신으로 녹훈하였으며 超拜兵曹參判異數也(초배병조참판이수야) /차서(次序)를 뛰어넘은 병조참판에 제수는 특별하고 남다른 예우입니다. 其錄券尙傳後孫家(기록권상전후손가)/그 녹권을 후손의 집에서 아직도 전하고 있습니다. 歿于丙辰八月七日(몰우병진팔월칠일)/ 병진년(1616년, 광해군 8) 8월7일 세상을 떠나니 葬羅州西寺洞先壠下庚坐原(장나주서사동선롱하경좌원)/나주 서쪽 사동(寺洞) 선산 아래 경좌원(庚坐原)으로 장사 지냈습니다. 公性本忠義(공성본충의)/ 공의 성품은 본래 충의(忠義)한데 才兼文武(재겸문무)/ 문무(文武)의 재주를 겸비하고 勇力絶倫(용력절륜)/씩씩한 힘이 두드러지게 뛰어난 데다가 智略盖世奮(지략개세분)/슬기로운 계략은 모든 세상을 드날리어 不顧身(불고신)/몸을 돌보지 않고 以殉國家之急(이순국가지급)/국가의 위기에 목숨을 바친다는 것이 其素蓄積也(기소축적야)/ 평소부터 쌓아온 바입니다. 是以當寇賊(시이당구적)/이런 까닭에 왜구들이 搶攘之際(창양지제)/ 몹시 혼란하고 수선하게 할 즈음에 首先赴難(수선부난)/가장 먼저 난리 지역에 나아가 執靮捍王(집적한왕)/ 말고삐를 잡고 임금을 방어하고 奉命通信(봉명통신)/임금의 명을 받들어 삼남에 소식을 전하면서 協謀元帥(협모원수)/원수 권율 장군과 함께 도모하여 戰輒樹勳(전첩수훈)/싸우면 문득 공훈을 세우고 克贊中興之業(극찬중흥지업)/중흥의 업(業)을 능히 도와서 雖邦命方永(수방명방영)/비록 이 나라의 명운(命運)이 바야흐로 길어지는 때 天意助順(천의조순)/하늘의 뜻도 순리(順理)를 돕고 而未嘗非當日諸公戮力(이미상비당일제공육력)/ 당일에 제공(諸公)들의 힘을 다한 輸忠之功也(수충지공야)/ 충성을 바치는 공(功)이 아니라 할 수 없습니다. 噫(희)/ 아! 方朝野無事之時(방조야무사지시)/ 바야흐로 조정과 민간이 태평 무사할 때 享厚祿者(향후록자)/ 두터운 복을 누리는 자가 持梁嚙肥(지량교비)/ 잘 지은 쌀밥에 기름진 고기를 먹고 高談仁義(고담인의)/ 인의(仁義)에 대해 수준 높게 담론하지만 而及乎危急(이급호위급)/ 위급함에 이르러서는 則皆引帑鳥獸(칙개인탕조수)/ 모두 처자를 이끌고 새나 짐승처럼 匿者多矣(닉자다의)/숨는 자가 많은데 而若公遐鄕(이약공하향)/이에 공은 머나먼 타향에서 一武弁(일무변)/한결같은 무변이었는데 聖主不識何狀(성주불식하상)/ 성스러운 임금께서도 이공(李公)이 어떤 모습인지를 알지도 못하였다면 而乃能辦此奇功(이내능판차기공)/ 이처럼 기이한 공(功)을 어찌 판별할 수 있었겠습니까? 宜其策名盟府(의기책명맹부)/마땅히 맹부(盟府)에 그 이름이 올랐으니 超秩亞卿也盛矣哉(초질아경야성의재)/ 단계를 뛰어넘어 아경(亞卿)으로 하는 것이 진실로 성대한 것입니다. 公後孫某某(공후손모모)/ 공의 후손 모모(某某) 씨가 謁余爲狀(알여위상)/나에게 행장(行狀)을 지어주기를 부탁하기에 余復曰(여부왈)/ 내가 다시 말하기를 公之功烈(공지공렬)/“공의 뛰어난 공적(功績)은 已蒙聖朝之嘉賞事實具載(이몽성조지가상사실구재)/이미 성조(聖朝)가 칭찬하여 기림을 입었다는 사실이 모두 실려 있는 바 於幸州大捷碑名德(어행주대첩비명덕)/행주대첩비에는 명성과 덕망이 실려 있고 則又配享於錦山忠壯祠(칙우배향어금산충장사)/ 또한 금산의 충장사(忠壯祠)에는 배향이 되어있고 而今李侍從承旭銘其墓(이금이시종승욱명기묘)/이제 시종(侍從) 이승욱(李承旭)이 공의 묘에 명(銘)을 새겼으니 此足以徵信於後(차족이징신어후)/ 이것이라면 후세에 충분히 증거로 삼을 수 있다.”라 하면서 奚贅爲辭之固(해췌위사지고)/ 어찌 군더더기 말이기에 굳이 사양하였는데 而請益切遂撰次如右(而請益切遂撰次如右)/ 더욱 절실히 간청하기에 마침내 위와 같이 짓는 바이니 以竢知德者攷質焉(이사지덕자고질언)/ 덕(德)을 아는 사람이 본질을 상고(詳考)해 주기를 기다리겠습니다. 錦城吳駿善謹撰(금성오준선근찬)/ 금성 오준선(吳駿善) 삼가 짓다 |